2025 농업기술박람회
6월 4일(학술행사)
09:00-18:00
2025 춘계약용작물학회(HALL1)
3층 전시장
2025 춘계 약용작물학회
105호, 106호
2025 신규역량 강화 전문지도연구회 제1차 과제교육
101호, 102호, 103호
13:00-17:00
농업위성 및 로봇 국제 심포지엄
202호, 203호, 204호
13:00-18:00
가축생명자원 심포지엄
205호
13:30-18:00
식량작물 노지스마트농업 민관협의체 세미나
201호
6월 5일 (학술행사)
6월 5일(학술행사)
09:00-13:00
09:00-12:00
위성영상 처리기술 워크숍
206호
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신진연구사(NRG) 워크숍
203호, 204호
14:00-16:00
개막식
3층 무대
14:30-17:00
국산 벌꿀 경쟁력확보와 소비촉진 방안 토론회
14:30-18:00
산업곤충 생산기술개발 및 산업화 현황 심포지엄
15:00-17:00
농업연구 데이터 플랫폼 활용 설명회
15:00-18:00
2025년 농식품 소비행태 변화 심포지엄
102호
경북 Agri-Frontier25 발대식
201호, 202호
16:00-18:00
복숭아 수출 활성화 심포지엄 및 업무협약
2025 농업기술박람회 농업R&D 체험프로그램
시 간
내 용
6.4.(수)
13:00∼13:20
등록 및 안내
13:20∼13:40
개 회(인사말씀)
13:40∼14:20
유기농업연구회 활동사례 발표
14:20∼15:20
포도연구회 활동사례 발표
15:20∼15:50
신규역량강화 전문지도연구회 임원선출
16:00∼18:00
회원 간 네트워크 강화 프로그램
6.5.(목)
08:50∼09:00
등록 및 일정 안내
09:00∼09:30
‘25년 전문지도연구회 운영 방안
09:30∼11:00
강의기법의 이해 및 농촌지도사의 역할
11:00∼12:00
농업기술박람회 현장 견학
K농업-농산업에서의 약용작물 혁신 기술
날 짜
개회 및 내빈소개
13:20∼14:40
학술강연<1부> 좌장: 서울대 양태진 교수
- 국내육성 대마 품종을 통한 K농업실현
- 미래 약용작물 와사비 스마트팜 생산기술
14:40∼15:30
분과별 포스터발표
15:30∼17:40
학술강연<2부> 좌장: 건국대 임병우 교수
-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개발
- 식물 특수대사산물 생합성 조절의 이해
17:40∼18:10
정기총회
10:00∼10:50
분과별포스터 발표
11:00∼11:45
학술발표회(일반, 청년과학자)
11:44∼12:00
시상 및 폐회
농업위성을 활용한 농업관측 고도화 및 농업로봇 활용 농작업 전망 논의, 국제협력 방안 모색
13:10∼13:30
개회사 및 환영사
13:30∼14:45
농업위성 및 로봇 분야별 전문가 기조강연
14:45∼17:00
(세션1) 농업관측을 위한 위성영상 활용
(세션2) 지능형 농업로봇의 동향 및 발전 방향
▶ 국내외 가축유전자원 관리 및 이용 활성화 방안 강연
- 국내 가축유전자원의 보존·관리 현황
- 국가별 가축유전자원 보존·관리·활용 현황 발표(가제)
* FAO, 몽골, 베트남, 우즈베키스탄
▶ 국가단위 가축생명자원 관리 효율화 방안 논의
- 가축생명자원 관리기관을 활용한 국내 가축유전자원 지속 보존 방안
13:40~16:10
인사말씀 및 참석자 소개
분야별 담당자 발표
16:10~16:30
종합토의
16:30~18:00
분야별 과제협력방안 토의
* 농작업자동화, 디지털 영농의사결정 분야
사회현상의 변화, 우리 농식품이 가야할 길은?
15:00~15:10
국민의례 및 참석자 소개
15:10~15:20
개회사
15:20~15:40
농식품 소비정보 데이터 소개
15:40~16:10
(주제발표1) 고물가 관련 소비행태 분석
16:10~16:40
(주제발표2) 기후변화 관련 소비행태 분석
16:40~17:10
(주제발표3)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행태 분석
17:10~17:20
휴식
17:20~17:50
종합토론
청년 농업인 정책 참여 기반 구축 및 정책 소통 거버넌스 체계 출발 선언
09:00~10:00
우수 연구사례 발표
10:00~11:00
인테러뱅(연구에 신진연구사의 실험적 상상을 더하다)
11:00~12:00
최종발표 및 시상
저가 수입 벌꿀’ 대응, 우리 벌꿀 가야할 길은?
일 시
14:30~14:40
14:40~14:50
14:50~15:20
(주제1) 국내 벌꿀 생산, 소비 및 유통 현황
15:20~15:50
(주제2) 벌꿀, 글로벌 시장 트랜드 변화 분석
15:50~16:00
16:00~16:30
(주제3) 국산 벌꿀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개발 현황
16:30~17:00
(주제4) 국산 벌꿀 인증, 꿀 등급제 활성화 방안
17:00~18:00
데이터플랫폼 활용 및 데이터관리
6.5.목)
15:00~15:40
15:40~16:20
데이터지원센터 활용방법
16:20~17:00
데이터플랫폼 연계 SW공개(소스사용 등)
위성영상 보정·융합기술 강의 및 실습
09:00~09:10
인사말, 강사 소개, 사진촬영
09:10~09:30
Landsat 위성영상의 대기보정
09:30~09:40
09:40~11:00
실습 및 마무리
산업곤충 육성을 위한 생산 기술, 소재 개발 성과 확산을 통한 산업화 촉진
개회사, 축사
14:50~15:15
(주제1) 산업곤충 우수품종 육성 및 자원관리
15:15~15:40
(주제2) 산업곤충 기능성관련 최근연구동향
15:40~16:05
(주제3) 국내 사료곤충 생산 기술 및 상용화 현황
16:05~16:30
(주제4) 누에사육 자동화 기술 개발 현황
16:30~16:55
(주제5) 곤충소재의 의학적 효과구명과 적용
16:55~18:00
▶ 수출 활성화 방안 토의
▶ 상호협력 업무협약
- 청도복숭아연구소,
- 복숭아 수출농업기술지원단
- 한국복숭아수출연합회
▶ (교육) 생명과학의 기초지식 및 농업생명공학기술 원리와 개발작물 설명
▶ (체험) 일상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해 DNA 분리 및 관찰 진행
▶ (효과) 농업생명공학에 대한 이해도 증가 및 생명공학분야 진로 탐색 기회 제공
▶ (품종소개) 우리 청 육성 작물(벼, 콩, 잡곡 등) 품종 설명 및 종자 촉감 체험
▶ (악기만들기) 종자를 활용한 마라카스(타악기) 만들기 및 매직펜으로 꾸미기
▶ (효과) 마라카스 악기 제작으로 창의력 향상 및 감수성 증진
▶ (교육) 식물 바이러스 진단 원리 강의 및 바이러스 감염 증상 및 병징 관찰
▶ (체험) 진단키트(RIGS)를 이용하여 식물에 감염된 원인 바이러스 진단
▶ (효과) 식물 건강에 대한 기초과학 이해 증진 및 농업과학 기술의 흥미와 관심 유도
▶ (교육) 우리 청 개발 접목선인장(‘보홍’ 등 4종) 소개 및 바이오차 이해
▶ (체험) 바이오차를 화분 비료로 활용하여 접목선인장을 심어 키워보기
▶ (효과) 청의 육종 기술 및 탄소중립 성과를 일상적으로 쉽고 재미있게 홍보